
[충청중심뉴스] 서산시가 국가 재난안전통신망과 함께 아마추어무선 통신망을 활용한 비상통신 체계를 완성 단계에 두고 있다.
이는 최동묵 서산시 의원의 꾸준한 관심과 발 빠른 의정활동이 만들어낸 결실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서도 선도적 사례로 주목된다.
세월호·오송 참사 이후 1조 5천억원이 투입된 국가 재난안전통신망은 실제 재난 현장에서 비상통신으로의 역할이 부족하다는 등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에 서산시는 2023년부터 최동묵 의원의 주도로 기존 아마추어무선 통신망을 추가 정비하고 전문 교육을 실시하며 국가망을 보완할 대응 체계를 마련해 왔다.
재난안전관리 기본법 제34조의2는 “재난 발생 시 유선·무선·위성 등 긴급 통신수단을 확보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서산시는 이를 근거로 기간통신망이 불통될 때도 즉시 가동 가능한 독립형 무선망을 확충했다.
올해 7월 제2회 추경에서 망일산 아마추어무선 중계기 설치 예산이 시의회를 통과하며 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
현재는 송수신 기기, 안테나, 태양광 충전 설비 등 하드웨어 설치 준비가 진행 중이며 가야산·팔봉산 기존 중계기와의 주파수 연계·링크 작업 및 전파관리소 준공 등 인허가가 마무리되면 최종 개통될 예정이다.
최동묵 의원은 2015년 아마추어무선 서산지부장을 역임하며 전국 기초단체 최초로 아마추어무선 활동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한 자료 제공 등 주도했다.
이후 가야산·팔봉산 중계기 설치를 추진해 충남 서해안과 내포 전역을 아우르는 긴급통신망을 완성했고 2023년에는 충남도·서산시 지원으로 아마추어무선사 교육을 대대적으로 시행했고 서산시 산림부서 소방서 119안전센터, 각 읍면동 의용소방대에 핸드 무전기 100대를 공급해 재난 현장에서 즉각 상황 전파와 대응이 가능하도록 체계를 갖췄다.
서산시는 지자체·소방서·119안전센터·산림부서·의용소방대 등과 세부 주파수를 공유하고 중계기를 통해 단일망처럼 운영할 수 있는 원스톱 통신 체계를 구축했다.
이는 전국 지자체 중 매우 드문 사례다.
최 의원은 10년 이상 의용소방대원으로 활동하며 산불·재난 현장을 직접 대응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아마추어 무선통신을 재난 대응에 활용하면 기존보다 훨씬 신속한 현장 지휘가 가능하다”는 점을 몸소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가 재난안전통신망과 병행 운용으로 이중 안전망 확보, 자연재해·대규모 재난 시 즉각적 현장 지휘 및 정보 전파 가능, 시민 재산과 생명을 지키는 선도적 지방자치 모델 제시 등의 기대 효과가 예상된다.
최동묵 의원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재난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끊기지 않는 통신’ 이다.
서산시는 국가망과 아마추어무선망을 함께 운영해 언제, 어디서나 대응 가능한 체계를 완성했다.
시민 여러분의 안전이 곧 서산의 미래이다”고 말해 시의원으로의 바람직한 마음 자세를 언론에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중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