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중심뉴스] 5월 7일 국회에서는 의미 있는 행사가 개최됐다.
‘국가하구 생태복원’을 이번 대선에서 국정과제로 채택하기 위한 민·관·정 정책간담회가 열린 것이다.
국가하구생태복원 전국회의 주관으로 이학영 국회 부의장과 이개호, 신정훈, 박수현, 황명선, 서왕진 의원 등 국회의원과 김영록 전남도지사, 박정현 부여군 수등 지방자치단체장 그리고 초대국가물관리 위원장을 역임한 허재영 상임고문 등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해 해수유통을 통한 기수역 복원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하굿둑이 필요했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며 지금은 우리 후손들을 위해서라도 해수유통을 통한 금강의 생태계 복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대가 왔다”고 강조했다.
또한 “내란과 대통령 탄핵으로 인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예기치 못한 조기대선이 실시되지만, 지역의 사정을 감안해 국회차원에서 반드시 국정과제에 채택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금강은 백제시대부터 물산과 교역의 핵심통로였으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와 문화를 품은 공간이었다.
또한,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기수역은 장어, 참게 등 풍부한 어족자원의 보고로서 경제의 한 축이 됐다.
그러나 하굿둑이 막힌지 35년이 지나면서 모든 것은 과거의 이야기가 됐다.
그러나 지난 2017년 낙동강 생태복원이 국정과제로 채택되면서 금강도 희망을 갖게 됐다.
낙동강은 2019년부터 해수유통 실증 실험을 통해 2022년부터는 전면 개방을 시행했으며 이는 환경과 지역경제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뒀다.
금강의 해수유통에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보다 전북지역에 공급되는 용수문제이다.
금강하류지역에 있는 취수장 5개소를 상류지역으로 이전하는데만 6천억원 이상의 비용이 소모되며 향후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서라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여건으로서는 추진이 불가한 상황이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금강하구 해수유통을 국가정책으로 추진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2024년 11월 전남도청에서 열린 국가하구 생태복원 대토론회와 올해 2월 부여군에서 개최된 하구복원법 제정을 위한 대토론회에 참석해 충남도와 전북도 등 관련 지자체의 이해조정과 취수장 이전 등 막대한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부에서 추진해야 함을 강조했다.
부여군과 국가하구생태복원 전국회의에서는 이번 간담회를 거쳐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관련 법률제정을 위한 입법토론회도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중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