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중심뉴스] 홍성군이 4월 28일을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인구 100,003명을 달성하며 인구 10만명을 다시 회복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심각한 인구감소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이번 성과는 공동주택 확충을 중심으로 한 내포신도시 정주 여건 개선과 지속적인 인구 증가 정책의 결과로 해석된다.
홍성군의 인구는 1960년 인구통계 시작 이래 1965년 15만 4천여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꾸준한 감소세로 1996년 10만명 이하로 하락했다.
그러나 2012년 내포신도시 조성과 함께 반등세에 들어서며 2017년에 10만명을 돌파했지만, 정주기반 미흡 등의 이유로 2023년에는 9만 7천 명까지 줄어들었다.
그런 점에서 이번 회복은 단기적 요인인 공동주택 입주 외에도 지역의 정주 여건이 일정 부분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로 지역의 주거 매력도와 생활 인프라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전제되었기에 가능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번 인구 회복은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홍성군은 지난 수년 간 출산율 하락,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 고령화 심화 등 복합적인 인구 위기를 맞아 전방위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해 왔다.
특히 주거 인프라 확충을 중심으로 교육, 문화, 일자리 등 정주환경 개선 노력과 더불어 다각적인 정책적 대응이 맞물려 이룬 의미 있는 결과로 평가된다.
홍성군은 그동안 △가족어울림 센터 운영 △출산가구 취득세 감면 △다자녀·신혼부부 전월세 대출이자 지원 등 지속적인 주거·출산·보육 지원 확대로 정책적 대응을 이어오며 기초체력을 꾸준히 다지는 한편 △혁신도시 유치 △국가산단 선정 등 인프라 확충을 통해‘살고 싶은 도시’로서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
최근에는 각 분야의 민관 전문가들이 참여한 홍성군 인구정책위원회를 출범시켜 인구정책의 체계적인 대응을 통한 실효성 있는 인구 대응 모델을 구축해 꾸준한 인구 증가세를 유지하고자 한다.
이용록 홍성군수는 “이번 인구 10만명 회복은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가 있으며 이는 결과라기 보다는 시작이라고 말씀드리고 싶다”며 “앞으로도 군민의 삶의 질 향상을 최우선으로 두고 행정을 펼쳐가겠다”고 말하는 한편“인구 문제는 단기 대응으로 해결되지 않기에 군민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살고 싶은 도시, 머물고 싶은 도시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충청중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